티스토리 뷰

목차



    집에서 감기약이나 진통제가 남았는데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 폐의약품은 일반쓰레기처럼 버리면 환경오염과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남은 약을 안전하게 버릴 수 있는 방법을 약국, 보건소, 우체통 수거함 등 다양한 채널별로 정리해 드립니다.약을 하수구에 버리는 순간, 수질 오염은 시작됩니다. 지금 올바른 처리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폐의약품 안전 처리방법보기

     

     

     

    1. 약국·보건소 폐의약품 수거함 이용

     

    • 가장 추천되는 방법은 가까운 약국 또는 보건소에 설치된 폐의약품 전용 수거함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전국 약국 중 일부는 의약품 수거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으며, 보건소와 주민센터도 함께 운영 중입니다.
      포장 제거 여부: 알약은 개별 포장에서 꺼낸 후 비닐봉지에 담아 배출하는 것이 권장되며, 연고나 안약은 포장을 뜯지 않고 그대로 수거함에 넣습니다.
      시럽약도 병째로 넣되, 마개는 꼭 닫아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수거함은 일반적으로 출입구 근처나 민원창구 옆에 설치되어 있으며, 운영시간 내에만 이용 가능합니다.

    폐의약품 수거함
    폐의약품 수거함 - 수거함 모양은 다양합니다.

     

    폐의약품 안전 처리방법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2. 폐의약품 우체통 수거 서비스 이용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우정사업본부와 협약하여 우체통에 약을 버릴 수 있는 수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용 회수봉투는 해당 동주민센터에서 배부되며, 일반 봉투에 ‘폐의약품’이라고 표시해도 투입 가능합니다.
      단, 액체 의약품은 수거 대상이 아닙니다. 알약, 캡슐, 가루약만 가능하며, 반드시 밀봉해야 합니다.
      수거된 폐의약품은 전문 업체가 수거 후 별도 소각 처리합니다.

    우체국 폐의약품 회수봉투
    우체국 폐의약품 회수봉투

     

     

    3. 스마트서울맵에서 폐의약품 수거함 찾기(서울)

     

     서울시 스마트서울맵(https://map.seoul.go.kr)에 접속한 뒤, 검색창에 ‘폐의약품’을 입력합니다.
     도시생활지도 테마 중 ‘폐의약품 전용수거함 위치’를 선택하면 해당지역 및 인근 지역의 수거함들이 지도에 표시됩니다.
     각 수거함 핀을 클릭하면 상세 주소, 설치기관(예: ○○동주민센터,  ○○보건소 등), 위치 설명이 표시됩니다.
     각 시청 홈페이지 또는 보건소 공지사항에서도 일부 지역에 한해 수거 일정이나 일제 수거 캠페인 일정이 공지되기도 하니 병행 확인을 권장합니다.

    스마트서울맵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강동구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스마트서울맵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일반 가정 처리 시 주의할 점

     

    폐의약품 안전 처리방법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 폐의약품은 일반쓰레기나 재활용품으로 분류하면 안 됩니다.

    ✔︎ 하수구, 변기, 싱크대 등에 흘려보내는 것은 절대 금지입니다.
    ✔︎ 약물은 하천과 토양을 오염시키고, 환경 호르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포장이 없는 약은 모아서 밀봉한 후 가까운 수거기관에 가져가야 하며, 포장재(박스, 설명서 등)는 일반쓰레기로 분리 배출합니다.

     

     

     

    의료폐기물로 분류되는 약품과 구분

     

    ✔︎ 주사기, 주사바늘, 체온계, 혈당측정기, 인슐린 펜 등은 폐의약품이 아니라 의료폐기물에 해당되므로, 보건소 또는 병원에서만 수거합니다.
    ✔︎ 의료폐기물은 일반 가정에서 처리할 수 없으며, 지정된 수거경로 외 배출 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수은 체온계, 폐주사기 등은 날카로운 의료기기이므로 절대 일반쓰레기에 버려선 안 됩니다.

     

     

     

    언제 약을 버려야 할까요?

     

    - 유통기한이 지났을 경우, 이미 개봉 후 장기간 방치된 경우에는 즉시 버리는 것이 안전합니다.
    - 특히 감기약, 진통제, 항생제 등은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질되어 오히려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 복용을 중단한 약도 보관하지 말고 수거함에 넣는 것이 원칙이며, 매 분기 또는 6개월마다 한 번씩 약장을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 남은 약, 오늘 정리하세요. 아이와 어르신을 위한 안전한 환경은 약 정리에서 시작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