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집에서 감기약이나 진통제가 남았는데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 폐의약품은 일반쓰레기처럼 버리면 환경오염과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남은 약을 안전하게 버릴 수 있는 방법을 약국, 보건소, 우체통 수거함 등 다양한 채널별로 정리해 드립니다.약을 하수구에 버리는 순간, 수질 오염은 시작됩니다. 지금 올바른 처리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1. 약국·보건소 폐의약품 수거함 이용
• 가장 추천되는 방법은 가까운 약국 또는 보건소에 설치된 폐의약품 전용 수거함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 전국 약국 중 일부는 의약품 수거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으며, 보건소와 주민센터도 함께 운영 중입니다.
• 포장 제거 여부: 알약은 개별 포장에서 꺼낸 후 비닐봉지에 담아 배출하는 것이 권장되며, 연고나 안약은 포장을 뜯지 않고 그대로 수거함에 넣습니다.
• 시럽약도 병째로 넣되, 마개는 꼭 닫아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수거함은 일반적으로 출입구 근처나 민원창구 옆에 설치되어 있으며, 운영시간 내에만 이용 가능합니다.
2. 폐의약품 우체통 수거 서비스 이용
•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우정사업본부와 협약하여 우체통에 약을 버릴 수 있는 수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전용 회수봉투는 해당 동주민센터에서 배부되며, 일반 봉투에 ‘폐의약품’이라고 표시해도 투입 가능합니다.
• 단, 액체 의약품은 수거 대상이 아닙니다. 알약, 캡슐, 가루약만 가능하며, 반드시 밀봉해야 합니다.
• 수거된 폐의약품은 전문 업체가 수거 후 별도 소각 처리합니다.
3. 스마트서울맵에서 폐의약품 수거함 찾기(서울)
• 서울시 스마트서울맵(https://map.seoul.go.kr)에 접속한 뒤, 검색창에 ‘폐의약품’을 입력합니다.
• 도시생활지도 테마 중 ‘폐의약품 전용수거함 위치’를 선택하면 해당지역 및 인근 지역의 수거함들이 지도에 표시됩니다.
• 각 수거함 핀을 클릭하면 상세 주소, 설치기관(예: ○○동주민센터, ○○보건소 등), 위치 설명이 표시됩니다.
• 각 시청 홈페이지 또는 보건소 공지사항에서도 일부 지역에 한해 수거 일정이나 일제 수거 캠페인 일정이 공지되기도 하니 병행 확인을 권장합니다.
일반 가정 처리 시 주의할 점
✔︎ 폐의약품은 일반쓰레기나 재활용품으로 분류하면 안 됩니다.
✔︎ 하수구, 변기, 싱크대 등에 흘려보내는 것은 절대 금지입니다.
✔︎ 약물은 하천과 토양을 오염시키고, 환경 호르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포장이 없는 약은 모아서 밀봉한 후 가까운 수거기관에 가져가야 하며, 포장재(박스, 설명서 등)는 일반쓰레기로 분리 배출합니다.
의료폐기물로 분류되는 약품과 구분
✔︎ 주사기, 주사바늘, 체온계, 혈당측정기, 인슐린 펜 등은 폐의약품이 아니라 의료폐기물에 해당되므로, 보건소 또는 병원에서만 수거합니다.
✔︎ 의료폐기물은 일반 가정에서 처리할 수 없으며, 지정된 수거경로 외 배출 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수은 체온계, 폐주사기 등은 날카로운 의료기기이므로 절대 일반쓰레기에 버려선 안 됩니다.
언제 약을 버려야 할까요?
- 유통기한이 지났을 경우, 이미 개봉 후 장기간 방치된 경우에는 즉시 버리는 것이 안전합니다.
- 특히 감기약, 진통제, 항생제 등은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질되어 오히려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 복용을 중단한 약도 보관하지 말고 수거함에 넣는 것이 원칙이며, 매 분기 또는 6개월마다 한 번씩 약장을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 남은 약, 오늘 정리하세요. 아이와 어르신을 위한 안전한 환경은 약 정리에서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