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정부 지원금을 받을 때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50%" 같은 기준을 자주 보게 됩니다. 하지만 정확히 중위소득이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중위소득 기준과 그 적용 분야에 대해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가구별 소득 기준을 알고 정부 지원 혜택들을 놓치지 말고 챙기세요! 연도별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하시려면 아래에서 바로 확인가능합니다.

     

     

    e-나라지표 중위소득 보기
    e-나라지표 중위소득 보기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즉, 50%의 가구는 이보다 더 벌고, 나머지 50%의 가구는 이보다 덜 법니다. 예를 들어, 100가구가 있다고 가정하면 50번째 가구의 소득이 ‘중위소득 100%’가 됩니다. 중위소득은 국민의 평균적인 소득 수준을 반영하는 중요한 기준이며, 정부에서 복지 정책을 설계할 때 소득 수준에 따라 혜택을 구분하는 기준이 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2025년도부터 적용되는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50% (저소득층) 중위소득 120% 중위소득 150%
    1인 가구 2,392,013원 1,196,007원 2,870,416원 3,588,020원
    2인 가구 3,932,658원 1,966,329원 4,719,189원 5,898,987원
    3인 가구 5,025,353원 2,512,677원 6,030,424원 7,538,029원
    4인 가구 6,097,773원 3,048,887원 7,317,328원 9,146,660원
    5인 가구 7,108,192원 3,554,096원 8,529,830원 10,662,288원
    6인 가구 8,064,805원 4,032,403원 9,677,766원 12,097,208원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월 소득이 6,097,773원이면 중위소득 100%입니다.

    소득이 3,048,887원이라면 중위소득 50%(저소득층), 7,317,328원이면 중위소득 120%, 9,146,660원이면 150%가 됩니다.

     

     

     

    21년~25년 기준 중위 소득 기준 조회하기

     

     

    출처: 연도별 기준 중위소득 및 생계·의료급여 선정기준과 최저보장수준(보건복지부 고시)

    주석: 『국민기초생활 보장법』개정에 따라 그간 수급자 선정 및 급여 기준으로 활용되어온 "최저생계비"를 "기준 중위소득"으로 개편하여 상대적 빈곤 개념 도입

     

    e-나라지표 - 중위소득 기준 연도별 조회가기◀︎◀︎

     

    기준 중위소득 :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 제2항에 따른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

    시장소득 : 근로소득, 사업소득, 부업소득, 재산소득, 사적 이전소득

    가처분소득 : 시장소득 + 공적이전소득 - 직접세 및 사회보장세

     

     

     

    기준 중위 소득 기준 의미 분석

     

    25년 기준 중위 소득 기준표

     

    지표설명

    ■ 지표개념

    기준 중위소득이란「국민기초생활보장법」제20조의 제2항에 따라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의미함

    ■ 의의 및 활용도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의 급여의 기준을 정하는 중요 지표임

     

    지표해석

    ■ 수치해석방법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제2항에 따른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2015년 기준 중위소득 최초 정함

    ■ 향후 전망 또는 향후 계획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7월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차년도 기준 중위소득 공표

     

    유의사항

    ○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기초생활 보장 제도에서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한 개념으로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임

    ※ 중앙생활보장위원회 : 복지부 장관, 관계부처 차관인 당연직 위원 6인과 민간전문위원 (전문가, 공익대표) 10인으로 구성됨

     

     

     

    중위소득 기준이 왜 중요한가요?

     

    중위소득은 각종 정부 지원금 및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소득 구간을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청년 지원금, 국가장학금, 아파트 특별공급, 의료 지원 등 다양한 정책에서 활용됩니다.

     

    기준 중위소득기준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기준 중위소득기준 중위소득

    반응형